fnctId=profl,fnctNo=7 교수 검색 검색하기 이름 인물소개 리스트 재직교수 안숙영 상세보기 구분 재직교수 전화번호 053-580-5630(동영관 431호) 직위 계명대학교 정책대학원 여성학과 학과장,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학과 박사과정 여성학전공 부교수 연구분야 젠더정치, 여성정책, 일과 가족 EMAIL syahn@kmu.ac.kr 인물소개 재직교수 안숙영 구분 재직교수 전화번호 053-580-5630(동영관 431호) 직위 계명대학교 정책대학원 여성학과 학과장,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학과 박사과정 여성학전공 부교수 연구분야 젠더정치, 여성정책, 일과 가족 EMAIL syahn@kmu.ac.kr 세부내용 학력 2006 독일 베를린 자유대학교 정치학과 (박사) 1992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석사) 1989 서강대학교 사학과 (학사) 주요 경력 2022. 8. – 현재 계명대학교 정책대학원 여성학과 학과장 2021. 3. - 현재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소장 2020. 3. - 현재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여성학연구』 편집위원 2019. 12. - 현재 한국여성학회 이사 2019. 11. - 현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여성연구』 편집위원 2018. 7. - 현재 대구여성의전화 이사 2018. 12. - 2019. 11. 한국여성학회 재무위원장 2017. 7. - 2019. 6.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젠더와 문화』 편집위원장 2016. 1. - 2017. 12. 한국여성학회 『한국여성학』 편집위원 2013. 3. - 현재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젠더와 문화』 편집위원 주요 연구저서 2020. 6. 『젠더, 공간, 권력』. 파주: 한울아카데미. (단독/2021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2014. 12. 『대구, 섬유 그리고 여성』. 대구: 대구여성가족재단. (공저) 2014. 3. 『여성학: 행복한 시작』. 서울: 신정. (공저) 2013. 4. 『공간주권으로의 초대』. 파주: 한울아카데미. (공저) 2012, 8. 『위기를 극복한 세계의 리더들』. 서울: 북하우스. (공저) 2011. 2. 『독일의 평화통일과 통일독일 20년 발전상』. 서울: 늘품플러스. (공저) 2011. 2. 『왜 아직도 젠더인가? 현대사회와 젠더』. 부산: 부산대 출판부. (공저) 최근 연구논문 2023. “코로나19 팬데믹과 젠더정치학: 돌봄의 민주화와 지역화를 향하여.” 『지역과 정치』6(1): 75-107. 2023. “전환의 시대와 젠더: 상품의 생산을 넘어 삶의 생산으로.” 『여성학연구』 33(1): 7-34. 2022. “독일에서의 탈성장 운동과 돌보는 남성성 논의.” 『세계지역연구논총』 40(2): 105-129. 2022. “독일에서의 평등 돌봄을 향한 논의: 돌보는 남성성 개념을 중심으로.” 『유럽연구』40(2): 251-271. 2022. “독일에서의 젠더 돌봄 격차 논의와 그 함의.” 『EU연구』 61: 443-470. 2021. “성장의 한계를 둘러싼 독일에서의 논의와 젠더적 함의: 마리아 미즈의 빙산 모델을 중심으로.” 『세계지역연구논총』 39(2): 53-81. 2021. “독일에서의 젠더와 돌봄혁명 논의.” 『세계지역연구논총』 39(1): 137-164. 2021. “독일에서의 탈성장사회 논의에 대한 젠더 관점의 접근.” 『유럽연구』 39(1): 139-164. 2020. “젠더의 렌즈로 본 기본소득.” 『한국여성학』 36(2): 41-74. 2020. “젠더와 노동: 탈성장사회를 향한 상상.” 『사회과학연구』 59(1): 449-485. 2020. “독일에서의 젠더와 기본소득 논의.” 『EU연구』 55: 245-274. 2019. “유럽연합의 젠더평등의 현주소: 유럽젠더평등연구소의 젠더평등지수를 중심으로.” 『여성학연구』 29(2): 41-72. 2019. “유럽연합과 젠더 민주주의: 정치에서의 젠더평등을 중심으로.” 『EU연구』 52: 3-38. 2018. “돌봄노동의 여성화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여성학』 34(2): 1-32. 2018. “유럽연합과 젠더평등: 집행위원회의 <2016-2019년 젠더평등전략행동>을 중심으로.” 『유럽연구』 36(2): 1-26. 2017. “젠더와 돌봄: 남성의 돌봄 참여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33(2): 107-136. 2016. “정치공간에서의 리더십에 대한 여성주의적 접근.” 『아시아여성연구』 55(1): 79-104. 2016. “민주화 이후 민주주의와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 『페미니즘 연구』 16(1): 121-147. close 강사 장지은 상세보기 구분 강사 전화번호 직위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전임연구원,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학과 박사과정 여성학전공 강사 연구분야 젠더와 과학, 섹슈얼리티 인물소개 강사 장지은 구분 강사 전화번호 직위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전임연구원,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학과 박사과정 여성학전공 강사 연구분야 젠더와 과학, 섹슈얼리티 세부내용 학력 경북대학교 사회학(젠더 사회학 전공)박사 경력 2012 ~ 2018. 대구풀뿌리여성연대 대표 2012~ 2019. 대구여성영화제 집행위원 2020 ~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폭력예방 통합교육 전문강사 2021.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2022. 교육부 양성평등정책담당관 전문 경력관 2023. 제40대 한국여성학회 운영위원 별정위원 최근 논문 2024, “‘지역×여성 감독×소녀’의 교차성: <수능을 치려면>, <점핑클럽> 담론 분석을 중심으로”, 『콘텐츠와산업』, 6(2), 75-83. 2024. “대규모 재난 시기 발현되는 공동체 미디어의 역할연구: 대구성서공동체FM<코로나19 특별 생방송>을 중심으로.” 『지식과교양』. 14:477-508. 2023. “전환의 시대, 교육2030의 변혁적 역량과 행위성의 의미분석”.『문화와융합』45(6):771-785. 2018. “제노사이드를 재현한 그림책의 의미 분석”. 『로컬리티인문학』19: 287-322. 2018. “여성주의 실천전략으로 바라본 공동체 미디어”.『한국여성학』34(1): 105-140. 2017. “여성주의 영상제작과 여성영화제”. 『여성학연구』27(1): 183-219. 저서 2024. 『마을과 세계』. 에코리브로(역서) 연구 보고서 2023. (공동연구) 달성군 공무원 대상 성평등한 조직문화 확립을 위한 기본계획 수립 연구(달성군 복지정책과) 2021. (책임연구) 비산2.3동 주민자치회 시범사업의 운영과 성과 연구(대구시, 대구마을공동체만들기 지원센터) 2019. (공동연구) 대구시 주민참여예산제 읍면동 지역회의 운영방안 연구(대구시, 대구마을공동체만들기 지원센터) 학술대회 발표 2023. 젠더정의로 바라본 여성농민의 현재와 과제(10회 영남여성학포럼) 2023. 전환의 시대, 페미니즘 인식과 윤리의 확장(한국여성학회 춘계학술대회) 2018. 민주주의의 확장성을 위한 그림책의 의미 분석(전남대학교5.18연구소 2018국제학술대회) 2017. 미디어스케이프와 디아스포라 공공권(SSK국제심포지움 주관:경북대학교 & 히로시마 대학 ) 2016. 혐오의 현재성-일간베스트 사이트 사례분석(한국사회학회 후기사회학대회) 2016. 영상제작참여활동과 여성영화제(부산대학교 정기학술대회) 2016. 신자유주의 이후 대항헤게모니 형성을 위한 지역일반노조 결성과 활동(SSK국제심포지엄 주관: 경북대학교 & 히로시마 대학 ) 2014. 대구여성단체 1인가구 비혼모임의 의사결정과 활동(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추계학술대회) 2014. 대구사립작은도서관 건립운동에서 나타난 특징(한국가족학회 추계학술대회) close 명예교수 조주현 상세보기 구분 명예교수 전화번호 직위 계명대학교 정책대학원 여성학과 명예교수,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학과 박사과정 여성학전공 명예교수 연구분야 페미니스트 이론,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 여성학연구방법론 인물소개 명예교수 조주현 구분 명예교수 전화번호 직위 계명대학교 정책대학원 여성학과 명예교수,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학과 박사과정 여성학전공 명예교수 연구분야 페미니스트 이론, 페미니스트 과학기술학, 여성학연구방법론 세부내용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