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profl,fnctNo=8 교수 검색 검색하기 이름 인물소개 리스트 재직교수 최종렬 상세보기 구분 재직교수 전화번호 053-580-5421(봉경관 413호) 직위 계명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사회학과 학과장 전공분야 문화사회학, 사회/문화이론, 질적방법론 EMAIL jrchoi@kmu.ac.kr 인물소개 재직교수 최종렬 구분 재직교수 전화번호 053-580-5421(봉경관 413호) 직위 계명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사회학과 학과장 전공분야 문화사회학, 사회/문화이론, 질적방법론 EMAIL jrchoi@kmu.ac.kr 세부내용 학력 2002 미국 네바다대(UNLV) Ph.D (사회학) 1998 미국 네바다대(UNLV) 문학석사 (사회학) 1993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문학석사 (사회학) 1990 연세대학교 사회학 학사 경력 2021 – 계명대학교 사회학과 학과장, 계명대학교 이민다문화사회학과 학과장, 이민다문화센터 센터장 2020 - 2023 현재 한국문화사회학회 회장 2013 – 2015 BK21 플러스 <이주와 다문화 연구> 사업팀장 수상 2020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공연의 사회학: 한국사회는 어떻게 자아성찰을 하는가』 2020년 계명대학교 비사상 업적우수상 2019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꿈의 사회학』(공저) 2017년 계명대학교 비사상 저술상. 『다문화주의의 사용: 문화사회학의 관점』 2017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 『다문화주의의 사용: 문화사회학의 관점』 2013년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한국사회의 문화풍경』 (공저) 2010년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사회학의 문화적 전환: 과학에서 미학으로, 되살아난 고전사회학』. 2008 한국사회학회 우수논문상, “‘일반화된 너무나 일반화된’ 호혜성(?): 울산 주전동 어촌계의 사회자본” (공저) 주요 저서 2022. 『니는 내맹쿠로 살지 마래이』. 사회학소설. 피엔에이월드. 2019. 『공연의 사회학: 한국사회는 어떻게 자아성찰을 하는가』. 오월의봄. 2018. 『문화사회학의 관점으로 본 질적 연구방법론』. 휴머니스트. (공저) 2018. 『복학왕의 사회학: 지방 청년들의 우짖는 소리』. 오월의봄. 2016. 『다문화주의의 사용: 문화사회학의 관점』. 한국문화사. 2015. 『베버와 바나나: 이야기가 있는 사회학』. 마음의 거울. (공저) 2013. 『지구화의 이방인들: 섹슈얼리티, 노동, 탈영토화』. 마음의 거울 2009. 『사회학의 문화적 전환: 과학에서 미학으로, 되살아난 고전사회학』. 살림 2007. 『뒤르케임주의 문화사회학: 이론과 방법론』. 이학사 (편저) 2004. Postmodern American Sociology: A Response to the Aesthetic Challenge.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최근 논문 2023. (공저) “고프만의 관점을 통해 본 성희롱 : 성희롱 시정권고 사례집을 중심으로.” 『현상과인식』. 47(1): 195-216. 2022. “대면적 상호작용의 질서와 성희롱: 고프만의 시각에서.” 『현상과인식』. 46(3): 93-116. 2022. “Alexander’s Thesis of Value Generalization Reconsidered: Focusing on the 2008 Candlelight Vigils in South Korea.” Cultural Sociology 16(4): 447-467. 국제전문학술지(SSCI), 2021.(공저) “Cultural sociology in East Asia: Three Trajectories in Hong Kong, Taiwan and Korea.” American Journal of Cultural Sociology 10: 516–534. 국제전문학술지(SSCI). 2020.(공저) “Sacred Game: A Goffmanian Ethnography of a Women-Only Public Place in South Korea.” Sociological Research Online 25: 718-733. 국제전문학술지(SSCI). 2018 "남성 혐오는 가능한가?: 페미니스트 철학자 윤지영의 물음에 대한 한 남성 문화사회학자의 응답." 『문화와사회』26(3): 7-60. 2018. "꿈과 서사, 반복되는 이주노동자와 국민의 이야기에 대한 서사분석." 『사회와이론』32: 219-271. 2017. ""이게 나라냐?": 박근혜 게이트와 시민영역." 『문화와 사회』23: 101-153. 2017. "'복학왕'의 사회학: 지방대생의 이야기에 대한 서사분석." 『한국사회학』51(1): 243-293. 2016. "극지의 문화사회학: 무엇을 할 것인가?" 『문화와 사회』20: 35-77. close 재직교수 김정규 상세보기 구분 재직교수 전화번호 053-580-5024 (스미스관 321호) 직위 계명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미국학전공 교수(겸직), 계명대학교 국제학연구소장 전공분야 일탈과 범죄, 사회문제, 인종과 민족, 미국사회, 국제지역학 EMAIL jkim@kmu.ac.kr 인물소개 재직교수 김정규 구분 재직교수 전화번호 053-580-5024 (스미스관 321호) 직위 계명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미국학전공 교수(겸직), 계명대학교 국제학연구소장 전공분야 일탈과 범죄, 사회문제, 인종과 민족, 미국사회, 국제지역학 EMAIL jkim@kmu.ac.kr 세부내용 학력 2003. 미국 뉴욕주립대학교 버펄로(University at Buffalo, SUNY), 사회학박사 1995. 연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석사 1993.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학사 경력 2024 - 현재 계명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미국학전공 교수(겸직) 2022 – 현재 계명대학교 미국학전공 책임교수/사회학과 교수(겸직) 2021 – 현재 국제지역학 융합전공 책임교수 2018 – 현재 계명대학교 국제학연구소장 2004 – 현재 계명대학교 국제지역학부 미국학전공 교수 2015 – 현재 한국아메리카학회 미국학논집 편집위원 2012 – 현재 한국사회이론학회 학술위원 2010 – 현재 대한범죄학회 이사 수상 2016.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제8회 학술상,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주요저서 2021. 『세계지역의 이슈 : 갈등과 협력』 명인문화사.(공저) 2018. 『국경을 넘는 사람들 : 이주와 범죄』 에듀컨텐츠휴피아. 2017. 『세계화와 사회문제』 에듀컨텐츠휴피아. 2016. 『미국의 인종과 민족: 갈등과 변화』 에듀컨텐츠휴피아. 2014. 『출입국관리상 인권제고를 위한 형사정책적 대응 -불법체류외국인을 중심으로-』 한국 형사정책연구원.(공저) 최근 논문 2020. “주변국 선호도와 한국 사회의 갈등 - 미국, 일본, 중국, 북한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 이론』 (57): 73-123. 2019. “외국인 이주자와 범죄 : 잠재적 범죄자 인식과 다문화 수용도.” 『한국범죄학』 13(1): 69-92. 2017. “오렌지카운티의 새로운 소수자들: 삶의 공간과 재영토화.” 『미국학』 40(1): 91-138. 2016. “외국인 이주자, 북한이탈주민, 그리고 다문화에 대한 포섭과 배제 : 민족주의, 문명우 월주의, 선진국 담론의 검증을 중심으로.” 『사회이론』 49: 167~213. 2015. “외국인 이주자와 범죄: 상징적 폭력과 차별.” 『형사정책연구』 26: 305~333. 2015. “한국인 민족주의와 상징적 폭력의 의도하지 않은 결과: 외국인 이주자에 대한 편견과 차별.” 『사회이론』 47: 221~264. 2014. “범죄피해와 단속에 대한 외국인 이주자의 두려움.” 『사회이론』 45: 145~178. 2013. “외국인 이주자에 대한 상징적 폭력: 범죄와 처벌의 차별적 인식.” 『한국범죄학』 7(1): 153~194. 2013. “경쟁과 위협: 이주자와 다문화주의 수용도.” 『사회이론』 43: 199~237. 2012. “인터넷 음란물 접촉의 요인과 청소년의 섹슈얼리티.” 『사회과학연구』 24(2): 229~262. close 재직교수 박해남 상세보기 구분 재직교수 전화번호 053-580-5404 직위 계명대학교 사회학과 조교수 전공분야 역사사회학, 도시사회학, 종교사회학, 스포츠사회학, 사회변동 EMAIL parkhn@kmu.ac.kr 인물소개 재직교수 박해남 구분 재직교수 전화번호 053-580-5404 직위 계명대학교 사회학과 조교수 전공분야 역사사회학, 도시사회학, 종교사회학, 스포츠사회학, 사회변동 EMAIL parkhn@kmu.ac.kr 세부내용 학력 2018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졸업 (박사) 2006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졸업 (석사) 2004 충남대학교 사회학과 졸업 (학사) 경력 2023- 한국역사민속학회 편집위원 2021- 한국문화사회학회 섭외이사 2020- 한국사회사학회 학술위원 및 편집위원 2022-2023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HK연구교수 2018-2022 원광대학교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HK연구교수 2019-2021 비판사회학회 편집위원 2014-2015 동경대학 사회과학연구소 객원연구원 2014-2015 Japan Foundation Fellow 수상사항 2022년 최재석 학술상 박사학위논문상 2021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및 한국대학출판협회 올해의 우수도서 『절멸과 갱생사이 : 형제복지원의 사회학』 (공저) 2019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꿈의 사회학』 (공저) 2018 한신대학교 외래교수 우수강의상 주요저서 2023. 『초국적 협력과 소통을 위한 대한민국 외교 60년』. 다해(공저) 2023. 『사회학적 상상력의 방법을 찾아서』. 진인진(공저) 2022. 『서울사람을 웃고 울린 스포츠』. 서울역사편찬원(공저) 2022. 『동북아 내셔널리즘의 형성과 변화』. 경인문화사(공저) 2021. 『장위동: 도시 주거 변천의 파노라마』. 서울역사박물관(공저) 2021. 『미중갈등과 팬데믹시대』. 경인문화사(공저) 2021. 『절멸과 갱생 사이: 형제복지원의 사회학』. 서울대학교출판부(공저) 2021. 『동북아시아의 근대체험과 문화공간』. 경인문화사(공저) 2020. 『마스크가 말해주는 것들: 코로나19와 일상의 사회학』. 돌베게(공저) 2020. 『동북아시아의 대안적 협력과 연대』. 경인문화사(공저) 2018. 『꿈의 사회학』. 다산출판사(공저) 2016. 『한국현대생활문화사 1980년대편』. 창비(공저) 2014. 『빈곤과 공화국: 사회적 연대의 탄생』. 문학동네(역서) 2014. 『記憶と表象から読む東アジアの20世紀』. 花書院(공저) 2013. 『기억과 표상으로 보는 동아시아의 20세기』. 경인문화사(공저) 최근 논문 2023. (공저) "‘Big Brother’ at Brothers Home: Exclusion and Exploitation of Social Outcasts in South Korea" The Asia-Pacific Journal: Japan Focus 21(6-1): 1-15. (SCOPUS). 2022. "20세기 프랑스 가족 정책의 변화와 복지 엘리트의 역할." 『프랑스학연구』. 98: 117-149. 2022. "동북아시아 메가이벤트와 지역 (불)균형 발전- ‘70 일본만국박람회와 ’93 대전세계박람회를 중심으로 -." 『지역사회연구』 30(1): 119-147. 2021. (공저) "다중격차 시대 지역 청년의 자본과 아비투스." 『경제와사회』 131: 55-87. 2021. (공저) "Nationalism and the Representation of National Sport Heroes in 1990s South Korea." Journal of Asian Sociology 50(3): 513-544. (SCOPUS). 2020. "1990년대의 국제화ㆍ세계화와 대중 민족주의." 『한국민족문화』 77: 469-513. 2020. "Football and Hegemony Competiti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Korea." 『한국학연구』 74: 183-213. 2020. "The Interaction between Civil Society and the State in the History of Inter-Korean Sports Dialogue, 1988-2018." 『민주주의와인권』 20(3): 191-233. 2020. "일본의 대학 정책과 비상근강사 문제." 『현상과인식』 44(2): 145-186. 2020. "동북아시아의 사회적 연대와 인식공동체." 『경제와사회』 125: 85-122. 2019. "한국 발전국가 시기 사회정치와 부랑인의 사회적 배제." 『민주주의와인권』 19(4): 233-272. 2019. "도시의 기억과 초국경적 교류협력: 독일 북동부 도시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문화와정치』 6(4): 5-49. 2019. "한국 발전국가의 습속개조와 사회정치 1961~1988." 『경제와사회』 123: 344-380. 2019. "서울올림픽과 도시개조의 유산:인정경관과 낙인경관의 탄생." 『문화와사회』 27(2): 445-499. 2018. "현대 일본 사회와 꿈의 사회사:이상의 시대부터 불가능성의 시대까지." 『문화와사회』 26(3): 319-354. close 재직교수 임운택 상세보기 구분 재직교수 전화번호 053-580-5420(봉경관 438호) 직위 계명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전공분야 노동사회학, 사회정책, 사회이론, 정치사회학, IPE(국제정치경제학), 지역통합론(EU, 동아시아)) EMAIL wtlim@kmu.ac.kr 인물소개 재직교수 임운택 구분 재직교수 전화번호 053-580-5420(봉경관 438호) 직위 계명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전공분야 노동사회학, 사회정책, 사회이론, 정치사회학, IPE(국제정치경제학), 지역통합론(EU, 동아시아)) EMAIL wtlim@kmu.ac.kr 세부내용 학력 1989년 한양대학교 사회학과 졸업 1995년 독일 마부르크 필립스대학교 사회학과 졸업(석사) 2003년 독일 마부르크 필립스대학교 사회학과 졸업(박사) 경력 2005. 9. - 현재 계명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2020. 3. - 2022. 2.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회 국민성장분과 부위원장 2020. 1. - 2021. 12. 한국비교사회학회 회장 2023. 1. - 현재 한국이론사회학회 회장 2020. 1. - 2021. 12. 비판사회학회 『경제와사회』 편집위원장 2018. 3. - 2023. 2. 국무총리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기획평가위원 2017. - 2018. 고용노동부 정책자문위원회 노사정책 분과위원 2015. 3. - 현재 대구광역시 고용노사민정협의회 고용증진위원회 위원 2014. 11. - 현재 경북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 2014. 5. - 현재 대구광역시 달서구 지역노사민정위원회 전문위원 2014. 4. - 현재 대구경북지역통계협의회 위원 2014, 3, - 2014. 12. 기획재정부 공공기관 경영평가단 평가위원 2014. 1. - 2019. 12. 한국산업노동학회 이사 및 운영위원장 2013. 9. - 2014. 8. 산업통상부 FTA 국내대책위원회 민간위원. 2008. 1. - 2008. 12. 한국학술단체협의회 정책위원장 2007. 1. - 2007. 12. 한국사회학회 총무이사 2006. - 현재 참여연대 노동위원회 실행위원 2006. 6 – 9. 독일 에버트재단 국제발전협력분과 방문학자 2004. 5. - 2005. 8. 노사정위원회 경제사회소위 전문위원 2022. 1. - 2022. 12. 비판사회학회 회장 외 교외 연구비 지원 2020. 7. - 2022. 6. 한국연구재단 일반공동연구지원사업 2017. 8. - 2018. 7. 아산사회복지재단 학술연구지원사업 2014. 4. - 2016. 4. 포스코청암재단 아시아 인문사회지원사업 학술연구지원사업 2012. 2. - 2013. 1. 동일문화장학재단 학술연구비 지원사업 2009. 7. - 2010. 6. 한국연구재단 신진교수지원사업 외 다수 주요 저서 2018. 『경제의 디지털화와 노동의 미래』. 집문당 2016. 『전환시대의 논리: 자본주의와 민주주의의 이중위기』. 논형. (2017년 세종우수도서 선정) 2009. 『독일 중소제조업의 작업장 혁신사례』. 고성과작업장혁신센터 2004. 『GATS협약에 따른 서비스 교역의 자유화와 노조의 대응전략과제』. 한국노총중앙연구원 2003. Zur Transformation der industriellen Beziehungen in den europaischen Wohlfahrtsstaaten: von der sozialgerechten Produktivitatspolitik zur wettbewerbsorientierten Ungleichheit. 박사학위논문. Marburg 대학 부설 유럽공동체연구소(Forschungsgruppe Europaische Gemeinschaften: FEG) 연구총서(Nr. 19) 조성재·오계택·김동배·전우석·임운택. 2017. “일터혁신의 현단계와 발전방향” 한국노동연구원 (공저) 노세리·노용진·임운택·옥지호. 2018. “중소 제조기업 일터혁신 연구” 한국노동연구원.(공저) 임운택 외. 2017. 『청년실업, 노동시장 그리고 국가』. 오름 (공저) (2018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 임운택 외. 2013. 『현대사회와 베버 패러다임』. 나남 (공저) 임운택 외. 2013. 『문화, 환경, 탈물질주의 사회정책』. 오름 (공저) 외 다수 번역서 쉬만크, 우베‧우테 폴크만(엮음). 2011. 『현대사회를 진단한다: 사회진단의 사회학』 임운택 외 옮김. 논형. 리처, 조지. 2010. 『현대 사회학 이론과 그 고전적 뿌리』 임운택 외 옮김. 박영사. 최근 논문 임운택. 2020. “기본소득은 노동의 해방구인가?”, 『경제와 사회』 128호. 78-104. 임운택,2019. 디지털화 과정에서 노동과 기술의 문제: 독일 산업 4.0 사례를 중심으로, 『산업노동연구』, 25: 123-153 임운택‧김미경‧이균호. 2019. “건설노동자 편의시설 현황과 개선방안.”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8권 1호. 219-229. 이균호‧임운택. 2018. “불안정노동자를 위한 임금 체계와 사회보장 사례연구: 호주 건설 어워드 임금 쳬계를 중심으로.” 『산업노동연구』 24권 3호. 109-142. 임운택‧이서형. 2018. “건설일용직 노동자의 사회보험 의무가입을 위한 기금확충 규모 추계와 정책적 과제.” 『산업노동연구』 24권 1호 197-227. 임운택. 2017. “글로벌 자본주의에서 국가의 국제화.” 『사회와 이론』 31호. 171-209. 임운택‧전재수. 2017. “대구시 다문화 청소년의 학업 및 진로발달 경험에 대한 해석학적 연구.” 『다문화교육연구』 10권 2호. 25-63. 임운택. 2016. “포스트 민주주의 시대의 정당성 문제 – 카를 슈미트의 합법성과 정당성 논의를 중심으로.” 『경제와 사회』 제111호. 50-76. 임운택. 2015. “중국 자본주의의 특성과 발전 전망.” 『사회과학연구』 39집 2호. 105-144. 임운택. 2015. “금융시장 자본주의와 노동의 프레카리아트화.” 『경제와 사회』 107호. 12-43. 임운택. 2015. “권위적 자본주의와 민주주의의 위기: 포스트 민주주의 시대에 민주주의 회복의 전망.” 『경제와 사회』 106호. 325-359. 임운택. 2015. “국가론의 관점에서 본 유럽통합과 국가기구의 재구성: 이주민의 국경통제 사례를 중심으로.” 『EU연구』 39호. 27-56. close 재직교수 Chan Kwok Leung(Steve) 상세보기 구분 재직교수 전화번호 053-580-5418 직위 계명대학교 사회학과 조교수 전공분야 정치사회학 및 공공정책 EMAIL stevec@kmu.ac.kr 인물소개 재직교수 Chan Kwok Leung(Steve) 구분 재직교수 전화번호 053-580-5418 직위 계명대학교 사회학과 조교수 전공분야 정치사회학 및 공공정책 EMAIL stevec@kmu.ac.kr 세부내용 주요 업적 Chan, Steve K.L. (2024) Transboundary Water Governance: The Impacts of Upstream Dams on the Mekong River in Cambodia. GMSARN International Journal, Vol. 2024 Iss. 1. Chan, Steve K.L. (2023) Unequal Flows: Examining the factors surrounding Thai and Vietnamese Migrant Workers to South Korea. In Tan, Kevin S.Y. and Chan, K.L. Steve (Eds.) Demography and Diversity in Southeast Asia: Challenges and Issues amidst a “New Normal. Singapore: ISEAS Publications. (ISBN: 978-981-4881-29-6, 978-981-4951-50-0) Chan, Steve K.L. (2023) Migration, Brokerage and Recruitment: Examining the socio-cultural factors surrounding Thai phi-noy undocumented migrant workers in South Korea. PORTAL Journal of Multidisciplinary International Studies. Chan, Steve K.L. (2023). Householding and Land Ownership: The type of Cambodian Circular Migrant Workers in Thailand. Journal of Population & Social Studies, Vol. 31, pp. 198–215. Doi: 10.25133/JPSSv312023.012 Chan, Steve K.L. (2023) The Disappearance of Bangkok’s Artbox: Examining the challenges of sustaining a mobile night marke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Economics, Vol. 50 No. 1, pp. 20-33. Doi: 10.1108/IJSE-04-2021-0218 Chan, Steve K.L. (2022) Transnational Brokers and the Desire for Labour Migration: Decision-Making Process of Myanmar Migrant Workers in Thailand. Journal of International Migration and Integration, Vol. 23, pp. 1987-2007. Doi: 10.1007/s12134-021-00915-0 Tan, Kevin S.Y. and Chan, Steve K.L. (2021) From Train Station to Night Market: Bangkok’s Talad Rod Fai as Urban Liminoid Space. Space and Culture. Doi: 10.1177/12063312211046801 Chan, Steve K.L. (2019) Transforming Thai-Myanmar Borderland: de facto Statelessness, Indigenous Minorities and Internally Displaced Persons. In Tan, N.T. (Ed.) Transforming Society: Strategies for social development from Singapore, Asia and around the world. Singapore: Routledge. (ISBN 9780367141950) Chan, Steve K.L. (2018) Enclave Tenement Trap: A Case Study of Ethnic Minorities Residing in Private Rented Housing Sector in Hong Kong. Environment and Urbanization ASIA, Vol. 9 Iss. 2, pp. 198–213. Doi: 10.1177/0975425318783589. Chan, Steve K.L. (2018) Hierarchical Microcredit Networks: Lending and Borrowing Cliques in Self-help Groups in Phnom Penh.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ology and Social Policy, Vol. 38 Iss. 11/12, pp. 1008-1023. Doi: 10.1108/IJSSP-06-2017-0078 Chan, Steve K.L. (2018) Deprivation of Citizenship, Undocumented Labours and Human Trafficking: Myanmar Migrant Workers in Thailand. Regions & Cohesion, Vol. 8 Iss. 2, pp. 82–106. Doi: 10.3167/reco.2018.080205. Chan, K.L. Steve. (2017) Prostrating Walk in the Campaign against Sino-Hong Kong Express Railway: Collective Identity of Native Social Movement. Cosmopolitan Civil Societies, Vol. 9 No. 1, pp.20-41. Doi: 10.1515/9781400874569. Chan, K.L. Steve (2017) Dams on a Myanmar-Thai Transboundary River: Unequal Hydropower Exchange Model in Critical Hydropolitical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Development Issues, Vol. 16 Iss. 2, pp. 147 – 160. Doi: 10.1108/IJDI-10-2016-0062. Chan, K.L. Steve (2015) Segregation Dimensions and Development Differentials of Ethnic Enclave: Thai Restaurants in the Kowloon City of Hong Kong.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Economics, Vol. 42 Iss. 1, pp.82-96. Doi: 10.1108/IJSE-06-2013-0144 close 명예교수 이영찬 상세보기 구분 명예교수 전화번호 053-580-5423(봉경관 339호) 직위 계명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 전공분야 유교사회학, 사회사상 EMAIL lyc@kmu.ac.kr 인물소개 명예교수 이영찬 구분 명예교수 전화번호 053-580-5423(봉경관 339호) 직위 계명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 전공분야 유교사회학, 사회사상 EMAIL lyc@kmu.ac.kr 세부내용 학력 1993 Univ. de Franche-comte. Ph.D 1980 경북대학교 사회학 석사 1977 경북대학교 사회학 학사 경력 2015 - 2017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원장 2009 - 2011 동양사회사상학회 회장 2005 - 2008 계명대학교 출판부 부장 2005 - 2008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한국학논집』 편집위원장 2002 - 2006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소장 주요 연구업적 2016 『최한기의 측인론 연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2013 "최한기의 기학적 인간학과 인물감평 범주." 『동양사회사상』 27: 83-116. 2012 "최한기 인물평가와 사회심리학 대인지각 비교." 『한국학논집』 47: 7-32. 2008 『유교사회학의 패러다임과 사회이론』. 예문서원 2001 『유교사회학』. 예문서원 close 명예교수 김혜순 상세보기 구분 명예교수 전화번호 비공개 직위 계명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 전공분야 젠더, 지역, 이민 및 다문화 사회, 사회발전 EMAIL 비공개 인물소개 명예교수 김혜순 구분 명예교수 전화번호 비공개 직위 계명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 전공분야 젠더, 지역, 이민 및 다문화 사회, 사회발전 EMAIL 비공개 세부내용 학력 1984 미국 하와이대 대학원 사회학 박사 1981 미국 하와이대 대학원 사회학 석사 1977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 학사 경력 2001 - 2002 계명대학교 국제부장 2000 - 2001 (사)대구여성의전화 공동대표 2007 - 한국사회학 장기발전위원회 위원(다문화 T/F 팀장) 2008 - 2010 계명대학교 다문화사회 연구 및 교육센터 센터장 현재 계명대학교 다문화이민센터장, 정책대학원 이민다문화사회학과 학과장 주요 연구업적 2017. "국내외 정책 환경을 감안한 다문화가족정책 조정방안: 다문화인식개선사업 재고와 주류화." 『입법과 정책』9(1): 31-55. 2015 "지역사회연구와 이민현상: 연구대상과 자료로서 지자체 이민정책의 학술적 의의와 분석제안." 『지역사회학』16(3): 31-67. 2014 "결혼이민여성의 이혼과 '다문화정책': 관료적 확장에 따른 가족정책과 여성정책의 몰이민적ㆍ몰성적 결합." 『한국사회학』48(1): 299-344. 2014. "국가별 관심 편중에 따른 다문화수용성 측정: 대구 달서구 사례의 실증 분석." 『지방행정연구』28(1): 89-114 (제1저자) 2008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의 다문화사회 실험: 최근 다문화 담론의 사회학." 『한국사회학』 42(2): 36-71. 2004 "여자교수가 당면하는 성차별적 대학일상에 대한 문제제기: 남녀공학대학을 중심으로." 『미디어ㆍ젠더&문화』 2: 5-40. 2004 "A Sociological Analysis of the 2002 Digital Formation of South Korea." Acta Koreana 7(2):121-146. 1995 "매체의 이데올로기분석을 위한 시론적 탐색: 언론의 위기구성과 관리방식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34: 41-86. close